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경품 당첨에 시니어 아파트 난리났어요"

LA에 사는 김종석, 김돈씨 부부는 한 우물만 팠다. 중앙일보만 31년째 보는 애독자다. 결국 행운까지 잡았다. 지난 8일 진행된 본지 창간 50주년 기념 경품 대잔치에서 김씨 부부가 1등에 당첨됐다. 〈본지 11월20일자 A-2면〉 경품은 안마의자다. 21일 김씨 부부를 만나 당첨 소회부터 본지와 함께한 31년의 시간까지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기분이 어떤가.     “잘하면 쌀 한 포대 정도 받겠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큰 선물을 받게 돼 감사하다. 사실 허리가 아파 안마의자가 필요했는데 가격이 비싸서 못 사고 있었다. 그런 중에 1등 경품으로 안마의자를 받게 돼 기분이 좋다.”     -주변 반응은.     “현재 살고있는 시니어 아파트에서 난리가 났다. 이웃들이 당첨 턱 내라고 많이 얘기한다. 216가구 중 약 160가구가 한인이다. 대부분 중앙일보 구독자다. 타 한인 언론사에 비해 중앙일보 구독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당첨 소식이 신문에 나오니까 이웃들이 많이 축하해줬다. 생전 보지도 못한 사람이 와서 축하해주기도 했는데 알고 보니 중앙일보 구독자였다.”   -중앙일보는 어떻게 구독하게 됐나.     “1993년 미국에 이민 왔다. 샌버나디노카운티를 거쳐 지난 1993년 7월 LA로 이사 와서 곧바로 중앙일보 구독을 시작했다. 한국에서도 중앙일보를 봤었다. 아무런 고민 없이 구독을 택했다.”     -왜 지금까지 구독하나.   “중앙일보는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 소식까지 전달해준다. 구독을 취소하겠다는 생각은 추호도 안 해봤다. 요즘은 휴대폰으로도 뉴스를 보는 시대지만 신문을 통해 뉴스를 보는 게 더 편하다.”   -주변에도 중앙일보 구독자가 많나.   “앞서 말했듯이 지금 사는 아파트의 한인 주민 대부분이 중앙일보 구독자다. 우리가 사는 4층의 경우, 7가구가 중앙일보 구독자고 1가구만 타 한인 언론사 구독자다. 한인 언론사 중 중앙일보가 제일 유명하다. 그래서 많이 보는 것 같다. 또한, 다른 한인 언론사와 비교했을 때 콘텐트 수준이 월등히 앞선다. 우리 부부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중앙일보를 구독하는 사람이 주변에 많다.”   -신문 보는 방법 따로 있나.   “신문 보는 게 아침 일과다. 정해진 방법은 따로 없다. 시간이 많다 보니 거의 모든 면을 정독한다. 기사뿐만 아니라 칼럼이나 수필도 자세히 들여다 본다. 또 신문 중간에 있는 단어 퍼즐을 푸는 것도 좋아한다.”   -기억에 남는 중앙일보 기사는.   “구독 기간이 워낙 오래돼 하나만 고르기 어렵지만 주로 정치 기사를 관심 있게 봤다. 미국 정치는 물론, 본국지를 통해 한국 정치 소식도 빠르고 쉽게 접할 수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행사는.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가족사진 촬영 행사가 기억에 남는다. 지난 2012년 큰 애 결혼하기 전에 행사를 통해 가족사진을 찍었다. 아직까지 걸어두고 있다.”     -중앙일보에게 바라는 기사는.   “한인 언론사로서 한국 정치 이슈나 한미 외교 사안을 좀 더 다뤄주면 좋겠다. 아파트 이웃들끼리 신문 보고 한국 정치 뉴스에 대해 대화를 많이 한다.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한미 관계나 북한 문제에 대해 어떤 영향이 있을지 관심이 많아졌다.” 관련기사 본사 창간 50주년 경품 대잔치 전달식 김경준 기자아파트 시니어 중앙일보 구독자 중앙일보 기사 시니어 아파트

2024-11-21

“희귀본 사전 잘 남겨주세요”

 최근 이정근 원로목사가 자신이 소장하며 글을 쓰는 데 참고했던 귀중한 사전을 본지에 기증해 왔다.   이 원로목사는 “그동안 각종 기고를 위해 참고하던 사전류 중 신문사가 보관하며 사용할 수 있을 만한 몇 권을 추렸다”면서 “특히 국어대사전과 조선말대사전은 희귀본이다. 보존 가치와 향후 관련 기사를 쓰는 데도 유용할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또한 그는 “중앙일보가 한인 언론으로 미국 내에서 한국어와 한글 맞춤법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며 “중앙일보 기사는 한글을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교본같은 역할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원로목사가 기증한 조선말 대사전(사회과학출판사 간)의 경우, 속지 첫 페이지에 ‘통일을 위하여 무엇인가 해야 하다는 생각으로 200달러를 주고 샀다. 이정근’이라는 글이 남아 있다. 표지에는 조선말대사전이라는 표기 이외에도 ‘조선, 평양’이 명시돼 있고 2권 총 2190쪽으로 구성돼 있다. 머리말에는 총 33만개의 어휘가 수록돼 있다. 사전 본편에는 한국식과는 다르다. 처음에는 ㄱ, ㄴ, ㄷ, 식으로 배열돼 있지만 o이 없고 ㅎ이 끝난 다음에 ㄲ, ㄸ, ㅃ, ㅆ, ㅉ이 이어지고 그 뒤에는 ㅏ, ㅑ … ㅞ로 마무리 짓는다. 부록으로 방언, 고어가 수록돼 있다.     국어대사전(이희승 편저, 민중서림간)은 1994년 1월의 제3판으로 총4784면으로 이뤄져 있고 판매가는 18만원이었다. 부록으로는 당시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이외에도 특이하게 북한말 모음이 수록돼 있다.   우리말속담큰사전(송재선엮음, 1993년 교육출판공사간)은 총 2만5557개의 속담이 정리돼 있다. 부록으로는 한문으로 찾기와 한글로 찾기가 있으며 판매가는 8만원이었다.   이날 기증된 책은 이외에도 교학대한한사전, 뉴월드한영대사전이 있다. 본지는 기증된 사전류를 잘 보관하고 기사 작성에도 참고할 예정이다. 장병희 기자북한 사전 조선말 대사전 당시 한글맞춤법 중앙일보 기사

2021-11-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